CPIM 시험이 구 BSCM은 CPIM Part 1으로, 나머지 4모듈(MPR/DSP/ECO/SMR)은 통합되어 CPIM Part 2라는 이름으로 개정되었습니다.
아래는 CPIM을 구성하고 있는 5가지 모듈 설명입니다.
BSCM(Basics of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사슬망 관리 기초)

공급자(supplier)와 고객(customer)에 이르기까지 공급사슬망 내부에서 어떻게 자재의 흐름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룹니다. 공급사슬망의 개요와 기본 용어에 대한 설명, 그리고 공급사슬망의 다양한 활동들간의 관계에 대해서 학습하게 됩니다.

  • 공급사슬망 개요
  • 수요관리와 예측 기법
  • 기준 계획(Master Planning)과 MRP, PAC 레벨에서의 우선순위 부여와 능력 계획(Capacity Planning)
  • 집합적/개별적 재고 관리
  • 구매 및 물리적 배분(Physical Distribution)
  • Lean/JIT, 품질 시스템과 제약 이론(TOC)
MPR(Master Planning of Resources, 자원 기준 계획)

전체적인 판매운영계획(S&OP)을 수립하고 내/외부의 수요와 그 예측에 필요한 요소들을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고찰합니다. 이 과목에서는 조직의 비즈니스 정책과 목적, 그리고 제약된 자원에 부합하는, 달성 가능한 기준 계획을 수립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 수요관리(DM, Demand Management)
  • 판매운영계획(S&OP, 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
  • 기준계획(Master Scheduling)
  • 비즈니스 성과 측정
DSP(Detailed Scheduling and Planning, 상세 스케쥴링 및 계획 수립)

자재 및 능력을 어떻게 스케쥴링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문제들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자재소요계획(MRP), 능력소요계획(CRP), 재고관리, 조달 및 공급계획 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학습하게 됩니다.

  • 재고관리의 기술과 응용
  • 자재계획 과정의 상세한 메커니즘
  • 우선순위계획을 실천하기 위한 운영계획
  • 조달계획 및 아웃소싱
ECO(Execution and Control of Operations, 실행 및 운영 제어)

실제 작업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시퀀싱하고, 이를 실행/통제하고, 작업 결과를 보고하고, 성과에 관한 피드백을 하는 등의 분야에 초점을 두고 학습하게 됩니다. 생산 프로세스의 스케쥴링/통제, 품질목표의 달성 및 지속적인 향상계획, 재고의 처리/통제 등에 관한 실질적인 기술을 배우게 됩니다.

  • 작업의 우선순위 부여 및 시퀀싱
  • 작업의 실행 및 통제
  • Push/Pull 시스템을 위한 인증/보고 행위
  • 성과측정 및 피드백
SMR(Strategic Management of Resources, 전략적 자원 관리)

생산전략과 공급사슬망 관련 기능에 대한 신/구 프로세스의 관계에 대해 학습하게 됩니다. 이 과목에서는 조직전략에 따른 자원조정, 전략을 실천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설정 및 통합, 변화 이행 이렇게 3가지 분야에 그 포커스를 두고 있습니다.

  • 치열한 시장 경제의 이슈
  • 조직의 설비와 공급사슬망, 정보기술(IT), 조직체계에 영향을 끼치는 선택
  • 조직 내부 프로세스의 설정 및 통합
  • 프로젝트의 평가/관리